강원

검색
닫기

전국 유일, 글로컬대학 두 곳 품은 춘천시…지역문제도 함께 푼다

0

- +

핵심요약

강원대·한림대와 손잡은 춘천시…정책연구·산업 연계·리빙랩 실험까지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강원 춘천시와 글로컬대학인 강원대학교, 한림대학교가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 이에 더해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글로컬대학은 비수도권 대학 30곳을 지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대학을 키우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강원대학교와 한림대학교는 교육부 사업 시행 첫해인 2023년에 동시에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됐다.하나의 도시에 두 개의 글로컬대학 지정은 전국 최초 사례다.

이후 춘천시는 글로컬대학인 강원대학교, 한림대학교와 지난 2024년부터 지역발전 협력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춘천시에 따르면 2024년 27개 부서에서 제출한 33개의 과제 중 18개 과제를 대학이 선정해 정책연구와 생활 실험실(리빙 랩) 방식으로 진행됐다.

사업 초기 단계부터 춘천시 실무진과 대학의 연구진이 여러 차례 만나서 서로의 이해를 좁히고 연구의 방향을 함께 설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활용도가 높은 성과들이 만들어졌다.
 
주목할 점은 '지역의 현안'까지 해결해 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춘천시와 글로컬대학은 지난 2024년 9월 이주민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영화제를 활용했다. 올해에도 춘천시는 전체 부서를 대상으로 2025년 연구 대상 과제 수요 조사를 해 총 24개 부서로부터 29개의 과제를 발굴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강원대학교가 글로컬대학 사업으로 '지자체 연계형'과 '산업체 연계형' 연구과제를 새로 추가했다.'산업체 연계형'은 지자체-대학-산업체-혁신기관까지 확대 연계할 수 있는 연구과제로 벌써 연구 성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해 많은 관심과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춘천시와 글로컬대학 간의 활발한 협력의 중심에는 '춘천시 대학협력협의회'가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춘천시, 강원대학교, 한림대학교가 함께 운영하는 춘천시 대학협력협의회는 매년 ▲지역 현안 및 지역문제 해결 ▲지역-대학 간 상생발전 협력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대학도시 춘천 포럼'을 개최해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 있다.

아울러 춘천시는 해당 연구 결과를 기업혁신파크, 교육발전특구를 비롯해 정원소재실용화센터 유치 등 시의 중점사업 추진과 연계해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재경 춘천시 교육도시과장은 "춘천시와 대학은 상생협력 발전을 위한 동반자이자 하나의 팀"이라며, "춘천시가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선순환 글로컬 대학도시의 대표 모델을 만들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