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강원 인제에서 진화 헬기가 산불 진화 작업을 벌였다. 인제군 제공 강원 인제에서 지난 26일 발생한 산불이 약 20시간 만에 대부분 꺼졌다.
산림청과 강원소방본부는 27일 오전 9시 쯤 주불 진화를 완료했으며, 현재 헬기 7대와 인력 105명, 장비 11대를 동원해 잔불 정리 및 뒷불 감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의 영향 구역은 69㏊(69만㎡)로 추정된다.
주불 진화가 완료되면서 전날 인제군 기린면 기린실내체육관으로 대피했던 주민 254명은 모두 귀가했다. 경계 지역인 양양군 서면 19개 마을의 주민 120명도 거주지로 복귀했다.
산불로 인해 통제됐던 서울양양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통행도 재개됐다.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는 이날 오전 8시 25분부터 서울 방면 양양 분기점~인제 나들목 35㎞ 구간과, 양양 방면 동홍천 나들목~양양 분기점 73㎞ 구간의 통행을 다시 허용했다고 밝혔다.
잔불 정리 작업이 마무리되면 전날 발령된 산불 2단계도 해제될 전망이다. 산불 2단계는 예상 피해 면적이 50~100㏊, 평균 풍속이 초속 7~11m, 예상 진화 소요 시간이 10~48시간 미만일 때 발령된다.
이번 산불은 26일 오후 1시 18분 쯤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서울양양고속도로 상남7터널 인근 야산에서 발생했다. 산림·소방 당국은 발생 당일에 이어 27일 오전 5시 30분쯤 일출과 동시에 헬기 35대, 인력 705명, 장비 144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이어갔다.
지난 26일 오후 강원 인제군 기린면 기린실내체육관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산불 주민 대피소를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한편, 27일 오전 9시를 기해 강원남부산지와 태백에 건조경보가 발효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강원중·북부산지, 강원동해안, 원주, 영월, 정선평지에는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강원산지와 동해안, 강원남부내륙 지역은 실효습도가 25~35%로 매우 건조한 날씨를 보이고 있다. 바람 역시 순간풍속 55km/h(15m/s) 이상, 산지에서는 70km/h(20m/s) 이상으로 강하게 불고 있다.
이날 주요 지점 실효습도는 도계(삼척) 28%, 태백 28%, 강릉성산 30%, 사북(정선) 31%로, 화재 위험이 높은 상황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강원산지, 강원동해안, 강원남부내륙을 중심으로 대기가 매우 건조하겠으며, 그 밖의 지역도 차차 건조해질 수 있다"며 "특히 강한 바람으로 인해 작은 불씨가 대형 화재로 번질 우려가 커 산행, 캠핑 등 야외활동 시 화기 사용을 자제하고 화목 보일러, 담배꽁초 등 불씨 관리에 철저를 기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