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동한 춘천시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하 시설물과 굴착공사 현장에 대한 특별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이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춘천시 제공강원 춘천시가 지반침하(싱크홀) 사고 예방을 위해 지하시설물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최근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계기로 도심 내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점검하고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29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하 시설물과 굴착공사 현장에 대한 특별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이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춘천시에서는 총 13건의 소규모 싱크홀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원인으로는 도로 굴착공사 중 흙막이·차수 부실, 그리고 노후된 상·하수도관의 균열과 누수 등이 지목됐다.
시는 현재 상수도관(총 1,760㎞) 중 약 15.8%에 해당하는 278㎞, 하수도관(총 1,318㎞) 중 40.6%에 해당하는 535㎞가 30년 이상 된 노후관으로 파악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 강화를 시급한 과제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수도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52억 원을 투입해 32.5㎞를 정비 중이며, 매년 30억 원의 자체 예산을 활용해 추가 정비도 병행한다.
하수도는 1차 국비사업으로 2024년까지 19.2㎞를 정비 완료했으며, 2026년부터 2029년까지 534억 원을 들여 도심 노후 하수관로를 집중적으로 보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다음 달부터는 ▲굴착 깊이 10m 이상 대형 공사장 12곳 ▲도심 상수도 11개 구간 ▲하수도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 20개 구간 ▲지하도상가·지하차도 등 시민 이용시설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도 시행된다.
생활밀착형 감시체계도 가동된다. 시는 안전보안관과 '운수 파수꾼'으로 위촉된 버스·택시 종사자들을 통해 일상적인 예찰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시 홈페이지, 민원콜센터, 봄내소식지를 통해 시민들이 쉽게 싱크홀 발생을 신고할 수 있는 체계도 운영한다.
신고가 접수되면 재난안전과 도로, 상하수도 등 관련 부서가 협업해 1시간 이내 현장 확인 및 응급조치를 시행하고, 빠른 복구를 추진한다.
시는 현재 진행 중인 'AI 도로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연구'를 내년 7월까지 마무리하고, 이를 시 전역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GPR 장비 도입도 검토 중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지반침하 사고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예방 중심의 선제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지하 시설물의 안전점검과 정비를 병행해 사고 없는 안전 도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